게시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내용을 볼 수 있는 테이블입니다
남구 연일읍 학전리(鶴田里)
첨부이미지 (썸네일 - 첨부파일 뿌리기) 도움산 한줄기가 남주하는 지역에 능선을 따라 마을이 생겨났고 흥해군으로 연결된 지방 1급 도로따라 자연부락이 생겨났는데 자망태산 아래쪽으로 송학 마을이 있고 남쪽으로 내려오면 당수마을 중간마을이 도로를 따라 내려가면 칠전이란 마을이 있다. 본래 흥해군 남면지역에 속해 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송학리, 칠전리, 당수마을 중간마을을 합병하여 학전리로 영일군 달전면에 이속 시켰다. 1957년 달전면이 폐지가 되면서 연일면에 편입시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송학리,윤점리, 놋점리 라고도 불러온 곳으로 이곳에 소나무가 울창하게 우겨져 있었는데 학이 날아와 살았다고 한다. 학을 길조로 보고 우리들의 정서에 학이 소나무에 서식한다고 송학으로 불러왔다. 이 곳에 무성한 소나무는 6.25 전쟁과 산불로 인해 황폐화되었고 남아 있는 곳이 제당에 원시림 몇그루만 있다. 당수마을, 당수촌, 송학리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면 능선을 따라 언덕을 끼고 마을이 형성되어 있는데 마을 입구에 큰 소나무 당산목으로 불러오면서 당수마을당수촌로 칭했다. 중간마을, 당수마을에서 동남쪽으로 내려오면 1900년초에 작은 못이 있던 자리였는데 제방이 무너져 사용이 불가능해지자 그 자리에 미가가 들어와 마을이 생겨나서 송학과 당수마을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불러온 마을이다. 칠전, 돌개지니, 학전리에서 가장 큰 마을인데 예부터 이곳에 옷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고 또 능선을 따라 생겨난 밭에 7가지의 잡곡을 풍성하게 수확하여 붙여졌다고 전해지는 설도 있다. 고름세기, 맛골, 붉은댕이, 울골, 작은 울골, 큰 울골, 텃골, 등의 골짜기에 많은 밭을 개간하여 농사를 지어 왔다고 칠전으로 불러왔다는 설도있다. 예부터 이곳은 작은 능선을 따라 삼림이 울창하여 땔감을 구하기 편리하였고 우거진 송림에 학이 서식하여 맑고 깨끗한 곳으로 알려져 왔으며 빈농으로 산지 개발을 위해 인가가 모여들었다.  
 
○ 송학(松 ). 놋점리(店里) 
옛날 이곳에는 송림이 울창하여 많은 학이 날아와 살았다고 한다. 그래서 13세기경 김수택이란 사람이 이곳 지명을 송학으로 지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그 많았던 소나무는 거의 없어지고 제당 근방에 불과 몇 그루만 남아 있으며, 학은 찾아볼 수가 없게 되었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뒷산 자망태산이 마치 학이 춤추는 형상을 닮았다고 하여 그렇게 불렀다고도 한다. 
 
○ 당수마을(堂樹村) 
송학에서 1km쯤 남쪽으로 도로를 따라 내려오다가 언덕위에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 앞에 큰 소나무 당산목이 있어서 그렇게 불렀다고 하며, 지금도 그 당수나무가 있다.  
 
○ 중간마을  
당수마을 남동쪽 언덕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약 100여 년 전만 해도 이곳은 못이었는데 홍수로 제방이 터져 못이 없어진 후, 그 자리에 한 두집 들어서기 시작한 것이 마을을 이루게 되었다. 중간마을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송학과 칠전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 칠전(七田.漆田).돌개지니 
학전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옛날 이 일대에는 옻나무가 많이 자생하였는데, 마치 밭에 씨를 뿌려 가꾼듯이 무성하다 하여 칠전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고름새기, 밋골, 뽈은뎅이, 울골, 작은 울골, 큰 울골, 텃골의 일곱 골짜기에 많은 밭을 개간하여 농사를 지었다고 하여 칠전이라 불렀다고도 한다. 지금도 주로 논농사를 짓고 있다. 마을서편에 인조봉(人造峰)인 '식은밥덩이산'이 있고, 골짜기에는 김해김씨 문중에서 세운 돌비정(乭裨亭)과 군수이공선정비(郡守李公善政碑)가 있다.
  • 태그 연일읍,학전리
  • 조회 5777
  • IP O.O.O.O
  • 저작자표시-변경금지 저작자표시-변경금지